아이, 어르신, 손이 불편한 분에게 유용한 스마트폰 기능이란?
앱을 사용하다가 실수로 홈 화면으로 나가거나 다른 앱으로 전환되는 경우,
아이, 어르신, 손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에게는 큰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럴 때 ‘화면 고정 기능’을 활용하면 하나의 앱만 고정시켜
원하지 않는 조작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화면 고정 기능의 장점과 설정 방법, 실제 활용법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화면 고정 기능이란?
화면 고정은 특정 앱 하나만 화면에 고정시켜
홈 버튼이나 최근 앱 버튼을 눌러도 앱이 종료되지 않도록 막는 기능입니다.
주로 유아용 앱, 키오스크 모드, 어르신용 설정 등에 활용되며
실수로 앱이 종료되거나 다른 앱으로 넘어가는 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언제 화면 고정이 특히 유용할까?
아이에게 유튜브나 동화 앱을 보여줄 때
홈 버튼을 눌러 앱이 꺼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어르신이 뉴스 앱을 읽거나 영상 통화를 하다
버튼을 실수로 눌러 화면이 바뀌는 일도 많습니다.
이처럼 특정 화면을 고정해두면
안정적인 스마트폰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안드로이드에서 화면 고정 설정 방법
설정 → 보안 → 고급 설정 → 화면 고정으로 이동해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최근 앱 버튼을 누른 뒤, 고정할 앱을 선택하고
화면 카드에 나타나는 핀 모양 아이콘을 누르면
해당 앱이 화면에 고정됩니다.
해제하려면 홈 버튼과 뒤로가기 버튼을 동시에 눌러야 합니다.
기기마다 조작 방식은 다를 수 있습니다.
아이폰에서 비슷한 기능은?
아이폰에는 ‘화면 고정’이라는 이름은 없지만
비슷한 기능으로 ‘가이드 접근’이 있습니다.
설정 → 손쉬운 사용 → 가이드 접근에서 기능을 활성화한 후,
앱을 열고 사이드 버튼(또는 홈 버튼)을 세 번 누르면
해당 앱 외에는 조작이 불가능해집니다.
해제는 암호 입력으로 가능하며, 사용 시간도 제한할 수 있습니다.
화면 고정 기능의 주요 효과 요약
사용자 유형 화면 고정 기능의 효과
어린이 | 영상/앱 시청 중 다른 앱 이동 방지 |
어르신 | 오작동 예방 및 통화, 메시지 사용 안정화 |
손 불편한 사용자 | 실수 방지 및 앱 내 기능 안전하게 사용 가능 |
기능명 적용 기기 설정 경로 요약
화면 고정 (핀 고정) | 안드로이드 | 설정 → 보안 → 고급 설정 → 화면 고정 |
가이드 접근 | 아이폰 | 설정 → 손쉬운 사용 → 가이드 접근 |
실생활에서 활용하는 꿀팁
아이에게 유튜브를 보여줄 때 앱을 고정하면
다른 앱을 열지 못해 걱정 없이 맡길 수 있습니다.
병원 대기 중 어르신에게 스마트폰을 드릴 때도
뉴스 앱이나 영상 통화 앱을 고정해두면
혼동 없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